반응형
객체 안에 함수를 나타내는 법. 일단 변수명을 지정 그다음 {} 안에 들어가는 값들을 키 값 쌍으로 구분. 함수를 넣을 시에는 값 대신 함수를 넣어줌. 익명 함수를 사용 시 ex) abc = () => window.document.getElementById('abc') 이런 식으로 사용 가능하고 객체로 만들 시 값을 여러 개 넣는 것과 동일하게 함수도 여러 개 넣을 수 있음. 객체 안의 함수를 넣을 시 다양한 함수를 이용할 수 있음. 우리가 자바로 객체 안의 여러 메서드를 정의해서 사용하는 것처럼 js에서도 객체 안의 함수를 넣어 곳곳에서 그 함수를 부르기가 용이함. 이렇게 한번 정의하고 나면 다음에 사용할 때도 편함. 정의하면 편한 장점이 있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정의할지에 대해 아직까지 어려운 점이 있음. "아 이게 여러 곳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객체 안에 함수를 넣어 곳곳에서 사용하려고 하는구나"라고 머릿속은 생각하지만 내가 만약 직접 쓴다면 하나씩 계속 적어 나갈 듯... js 코드 작성 시 우선은 일단 써보고 만약 이게 나중에 한번 더 사용될 거 같으면 함수로 바꿔서 사용하는 연습을 통해 조금 익숙해질 필요성이 있음.
반응형
'In my opin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개발자 취업 시장: 현실과 도전 (0) | 2024.06.14 |
---|---|
XHR (0) | 2022.05.26 |
HashCode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