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춘고양이
배움을 기록하는 곳
청춘고양이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Hello World (119)
    • JQuery (5)
    • In my opinion (4)
    • HTML&CSS (8)
    • JS (9)
    • JAVA (21)
    • Spring Boot (21)
    • Node.js (1)
    • Linux (7)
    • Git (2)
    • Kotlin (4)
    • Fluttor (4)
    • 정보처리기사 (19)
    • AWS (1)
    • Oracle (8)
    • MySQL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제이쿼리 패스워드 변경
  • js 비밀번호
  • 초보개발
  • 제이쿼리
  • 객체 안의 함수
  • 제이쿼리 버튼클릭시 색 변경
  • 가위바위보js
  • 스크롤js
  • 쉬프트 연산
  • ScrollEffectJs
  • js 패스워드 변경
  • js
  • 제이쿼리 비밀번호
  • 청춘고양이
  • js 로또 번호
  • 자바db연동
  • spring 기본설정
  • 자바
  • css
  • 중복 제거 로또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청춘고양이

배움을 기록하는 곳

Linux

#Linux 2

2022. 11. 7. 23:55
반응형

리눅스 콘솔

리눅스 시스템을 제어하는 곳으로, 명령어 사용을 통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음

가상 콘솔(가상의 모니터)이며, 우분투는 총 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

X 윈도 화면은 가상 콘솔의 2번째 화면 (Ctrl + Alt + F2~F7)로 콘솔 화면 전환 가능

root@Server:~/바탕화면#
root  접속중인 사용자 계정 (root: 관리자)
@ 구분자
Server 시스템명
~ 마지막 작업경로
# 계정의 유형 (#은 root, $는 일반 유저)

 

리눅스 명령어

내장 명령어: export, history, logout, exit 등, 파일로 존재하지 않고 셸에 내장되어 있는 명령어

외장 명령어: 리눅스 대부분을 차지하며 /bin 또는 /sbin 디렉터리에 파일 형태로 존재(프로세스 발생)

PATH: 사용자들이 실행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찾는 디렉터리의 목록을 수정하고 있는 환경변수

man: 내장 명령어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어

echo: 문자열을 그대로 출력해주는 명령어, $와 함께 사용하면 $뒤가 변수일 경우 변수의 값을 출력해줌

history: 사용자가 사용한 명령어 내역을 볼 수 있는 명령어

clear: 현재 사용 중인 터미널 화면의 내용을 전부 지워줌

shutdown: 시스템 종료

reboot: 시스템 재시작

inti: 시스템 시작(0~6 단계가 있으며 해당 run level에 해당하는 모드로 시스템을 시작)

 

리눅스의 사용자와 그룹 관리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으로 여러 명이 동시 접속 가능

root: Super user로 관리자를 의미. 시스템의 모든 작업 실행 가능

/etc/passwd: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수정은 root만, 읽기는 누구나 가능)

/etc/group: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그룹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수정은 root만, 읽기는 누구나 가능)

/etc/shadow: 리눅스의 계정의 패스워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root 계정 이외의 계정은 읽을 수 없고 접근 불가능)

 

사용자 및 그룹 관련 명령어(관련 옵셔널은 추가적으로 검색)

adduser: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함. 추가 시 유저 관련 정보 함께 입력,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파일에 새로운 행이 추가됨, /etc/skel의 내용을 토대로 home 디렉터리가 생성됨

useradd: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함, 홈 디렉터리 생성 x, bash 등 환경설정 x, 데몬 서비스 등을 위해 존재함

usermod: 사용자의 속성을 변경

deluser: 사용자를 삭제(우분투 명령어)

userdel: 사용자를 삭제(리눅스 명령어)

groups: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을 출력

addgroup/groupadd: 새로운 그룹 생성

groupmod: 그룹의 속성을 변경

delgroup/groupdel: 그룹을 삭제(해당 그룹을 주 그룹으로 지정한 사용자가 없어야 함)

gpasswd: 그룹의 암호를 설정하거나 그룹 관리를 수행

passwd: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함

chage: 사용자의 암호 변경 주기를 설정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패킷 테스트: 네트워크 성능과 보안 점검  (0) 2025.03.18
tail 명령어 활용법  (0) 2024.07.16
백그라운드에서 Java 애플리케이션(WAR 파일) 실행하기  (0) 2024.06.26
#Linux 3  (2) 2022.11.08
#Linux 1  (0) 2022.11.07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ail 명령어 활용법
    • 백그라운드에서 Java 애플리케이션(WAR 파일) 실행하기
    • #Linux 3
    • #Linux 1
    청춘고양이
    청춘고양이
    신입개발자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