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릴리즈노트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정리된 릴리즈(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정리한) 정보를 최종 사용자인 고객과 공유하기 위한 문서
릴리즈노트 작성순서
- 모듈 식별
- 릴리즈 정보 확인
- 릴리즈 노트 개요 작성
- 영향도 체크
- 정식 릴리즈 노트 작성
- 추가개선 항목 식별
릴리즈노트 작성항목
- 머릿말(헤더) : 릴리즈노트 이름, 소프트웨어 이름 등
- 개요 : 소프트웨어 및 변경사항 전체에 대한 간략한 내용
- 목적 : 해당 릴리즈 버전에서의 새로운 기능이나 수정된 기능의 목록과 릴리즈 노트의 목적에 대한 간략한 개요
- 문제요약 : 수정된 버그에 대한 간략한 설명 또는 릴리즈 추가항목에 대한 요약
- 재현항목 : 버그 발견에 대한 과정 설명
- 수정 / 개선항목 : 버그 수정 / 개선 내용 간단 설명
- 사용자 영향도 : 사용자가 다른 기능들을 사용하는 데 있어 해당 릴리즈 버전에서의 기능 변화가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설명
- SW 지원 영향도 : 해당 릴리즈 버전에서의 기능 변화가 다른 응용프로그램들을 지원하는 프로세스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설명
- 노트 : 업그레이드, 소프트웨어 문서화에 대한 참고항목
- 면책조항 : 회사 및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참조할 사항
- 연락처 : 사용자 지원 및 문의 응대를 위한 연락처 정보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 저작권자가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자가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유통, 이용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호 기술
- 클리어링 하우스 : 저작권에 대한 사용 권한, 라이선스 발급, 암호화된 키관리, 사용량에 따른 결제관리 등을 수행하는 곳
- 콘텐츠 제공자 : 콘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
- 패키저 : 콘텐츠를 메타데이터와 함께 배포 가능한 형태로 묶어 암호화 하는 프로그램
- 콘텐츠 분배자 : 암호화된 콘텐츠를 유통하는 곳이나 사람
- 콘텐츠 소비자 : 콘텐츠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주체
- DRM 컨트롤러 : 배포된 콘텐츠의 이용 권환을 통제하는 프로그램
- 보안컨테이너 : 콘텐츠 ㅜ언본을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 장치

디지털 저작권 관리의 기술요소
- 암호화 : 콘텐츠 및 라이선스를 암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할 수 있는 기술
- 키 관리 : 콘텐츠를 암호화한 키에 대한 저장 및 분배 기술
- 암호화 파일 생성 : 콘텐츠를 암호화된 콘텐츠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
- 식별기술 : 콘텐츠에 대한 식별체계 표현 기술
- 저작권 표현 : 라이선스의 내용 표현 기술
- 정책관리 :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에 대한 정책 표현 및 관리 기술
- 크랙 방지 : 크랙에 의한 콘텐츠 사용 방지 기술
- 인증 :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의 기준이 되는 사용자 기술
소프트웨어 버전 등록
형상관리 :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
형상관리 기능
- 형상식별 : 형상 관리 대상에 이름과 관리번호를 부여하고 계층 구조로 구분하여 수정 및 추적이 용이하도록 하는 작업
- 버전제어 :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나 유지보수 과정에서 생성된 다른 버전의 형상 항목을 관리하고 이를 위해 특정 절차와 도구를 결합시키는 작업
- 형상통제 : 식별된 형상 항목에 대한 변경 요구를 검토하여 현재의 기준선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작업
- 형상감사 : 기준선의 무결성을 평가하기 위해 확인, 검증, 검열 과정을 통해 공식적으로 승인하는 작업
- 형상기록 : 형상의 식별, 통제, 감사 작업의 결과를 기록, 관리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작업
소프트웨어의 버전 등록 관련 주요기능
- 저장소 : 최신 버전의 파일들과 변경 내역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곳
- 가져오기(import) : 버전관리가 되고 있지 않은 아무것도 없는 저장소에 처음으로 파일을 복사
- 체크아웃 :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위해 저장소에서 파일을 받아옴
- 체크인 : 체크아웃한 파일의 수정을 완료한 후 저장소의 파일을 새로운 버전으로 갱신
- 커밋 : 체크인을 수행할 때 이전에 갱신된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충돌을 알리고 diff 도구를 이용해 수정한 후 갱신을 완료
- 동기화 : 저장소에 있느 ㄴ최신 버전으로 자신의 작업공간을 동기화
빌드 자동화 도구 : 빌드를 포함하여 테스트 및 배포를 자동화하는 도구. 애자일과 같은 지속적인 통합 개발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
- Jenkins : 자바 기반의 오픈소스 형태,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서버 기반 도구, SVN, GIT 등 대부분의 형상관리 도구와 연동이 가능. 친숙한 web gui 제공으로 사용이 쉽다.
- Gradle : groovy를 기반으로 한 오픈소스 형태의 자동화 도구. 안드로이드 앱 개발 환경에서 사용됨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로제어 / 트래픽제어 / 신기술 / 회복 / 병행제어 / 교착상태 (0) | 2023.09.16 |
---|---|
프로그래밍 언어 표현 (0) | 2023.09.12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0) | 2023.09.11 |
운영체제 / 프로토콜 / 네트워크 (0) | 2023.09.10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0)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