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개념(2)
청춘고양이
2023. 8. 27. 11:48
반응형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 시스템 오류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중단이나 물리적 손상 발생시 이를 복구하기위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여 관리하는 것
- Eager 기법 : 트랜잭션 수행 중 데이터 변경이 발생하면 이중화된 모든 데이터베이스에 즉시 전달하여 변경 내용이 즉시 적용되도록 하는 기법
- Lazy 기법 : 트랜잭션의 수행이 종료되면 변경 사실을 새로운 트랜잭션에 작성하여 각 데이터베이스에 전달되는 기법
RTO :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으로부터 복구되어 가동될 때 까지의 소요 시간
RPO :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으로부터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을 의미
데이터베이스 보안
- 접근통제 :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와 이를 사용하려는 주체 사이의 정보 흐름을 제한하는 것
접근통제 3요소
- 접근통제 정책 : 어떤 주체가 언제, 어디서, 어떤 객체에게 어떤 행위에 대한 허용 여부를 정의하는 것
- 접근통제 메커니즘 : 정의된 접근통제 정책을 구현하는 기술적인 방법(암호화 등)
- 접근통제 보안모델 : 보안 정책을 구현하기 위한 정형화된 모델
접근 통제 기술
- 임의 접근통제(DAC) :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 강제 접근통제(MAC) : 주체와 객체의 등급을 비교하여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 역할기반 접근통제(RBAC) :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
데이터베이스 백업
- 로그파일 : 데이터베이스의 처리 내용이나 이용 상황 등 상태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두 기록한 파일
- 복구(UNDO) : 로그에 보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최근에 변경된 내용부터 거슬러 올라가면서 트랜잭션 작업을 취소하여 원래의 데이터베이스로 복구
- 재생(REDO) : 덤프와 로그를 이용하여 가장 최근의 정상적인 데이터베이스로 회복시킨 후 트랜잭션을 재실행시킴
스토리지 :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기술
- DAS : 서버와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
- NAS : 서버와 저장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방식
- SAN : DAS의 빠른 처리와 NAS의 파일 공유 장점을 혼합한 방식,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하는 방식
자료구조 : 자료를 기억장치의 공간내에 저장하는 방법과 자료간의 관계, 처리 방법 등을 연구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자료구조분류
- 선형구조 : 배열, 선형리스트, 스택, 큐, 데크
- 스택 :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료구조(후입선출방식 LIFO)
- 오버플로우 : 저장할 기억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가 삽입
- 언더플로우 : 삭제할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삭제
- 큐 : 리스트의 한쪽에서는 삽입작업이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에서는 삭제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료구조(선입선출방식 FIFO)
- 스택 :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료구조(후입선출방식 LIFO)
- 비선형구조 : 트리, 그래프
방향/무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
- 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 : n(n-1)
- 무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 : n(n-1)/2
트리의 운행법
- preorder 운행 : root, left, right
- inorder 운행 : left, root, right
- postorder 운행 : left, right, root
수식의 표기법
- 전위표기법 : 연산자, left, right
- 중위표기법 : left, 연산자, right
- 후위표기법 : left, right, 연산자
정렬
- 삽입정렬 : 두번째 숫자와 첫번째 숫자 비교 후 크기순으로 정렬, 이후 3번째 숫자를 앞서 정렬된 숫자들 사이에 크기 순에 맞게 재정렬
- 선택정렬 : 레코드 중에서 최소값을 찾아 첫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고 나머지 중에서 다시 최소값을 찾아 두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는 방식을 반복하여 정렬
- 버블정렬 : 왼쪽부터 인접한 두 숫자간 크기 비교하여 위치교환, 1pass 마다 정렬되는 숫자들 중 가장 큰 숫자를 오른쪽으로 밀어서 배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