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VA를 DB와 연동할 시 DAO에서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작업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Connection과 PreparedStatment이다. Connection은 말 그대로 무언가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Connection을 객체로 만들어준 뒤 db의 내용을 처리하기 위해 PreparedStatement 객체를 이용한다. PreparedStatement객체는 statement를 상속받은 인터페이스로 SQL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객체이다. statement객체는 실행 시 sql 명령어를 지정하여 여러 sql 구문을 하나의 statement객체로 수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preparedStatement는 객체 생성 시에 지정된 sql 명령어만을 실행할 수 있다. 동일한 sql 구문을 반복 실행한다면 preparedStatement가 성능면에서 더욱 빠르다. 이러한 빠른 측면으로 인해 우리는 preparedStatement를 사용하지 않을까? 하는 나의 생각이다. 이제는 들어가는 sql의 값을 알아보자. preparedStatement를 사용하게 되면 안에 들어가는 값 들은 db의 쿼리 창을 띄우는 것과 똑같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딱 한 가지 차이가 있는 점이 특정 값을 도출하기 위한 where, value 등 값이 어떤 값을 넣는지에 관한 곳에서 "?"로 표기하여 그 "?"를 자바로 받아서 넣어주는 형식이다.
반응형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작정 Spring#2(insert) (0) | 2022.06.12 |
---|---|
무작정 Spring #1(기본 설정) (0) | 2022.06.11 |
ORM(MyBatis) (0) | 2022.06.10 |
Spring project 만들시 처리해야 할 것 (0) | 2022.06.10 |
MVC 패턴 (0)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