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환경설정
로컬에서 기본값으로 사용할 Git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설정

에디터 설정 (vi, vim, nano 등)

기본 용어 정리
작업 트리 - 파일 수정, 저장 등의 작업을 하는 디렉터리. 작업 디렉터리
스테이지 - 버전으로 생성할 파일들이 대기하는 곳
저장소(repository) - 스테이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서 저장하는 곳
브랜치(branch) -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서 관리함으로 각각의 독립된 Branch에서 마음대로 소스코드를 변경하여 작업한 후 원래 버전과 비교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커밋 - 확인 / 설정
기본 명령어
git status: 현재 수정 및 스테이징 된 파일의 목록을 확인
git log: commit 목록을 확인
git log --stat: commit 된 목록을 확인하면서, 변경된 파일들의 목록도 함께 확인함
git add [파일명]: 해당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
git commit -m [메시지]: git에 commit을 시도함. commit 메시지를 설정. 스테이지에 올라가 있는 파일이 commit 됨
git commit -am [메시지]: 수정된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리며 commit까지 같이 시도함. 한 번이라도 commit 된 파일만 가능
git checkout -- [파일명] : 스테이지에 올라가 있지 않은 파일을 수정하기 전으로 되돌림
git reset HEAD [파일명]: 스테이지에 올라가 있는 파일을 스테이지에서 내림
git reset HEAD^: 마지막에 시도했던 commit을 취소함
git reset --soft HEAD^: 최근 커밋을 하기 전 상태로 작업 트리를 되돌림
git reset --mixed HEAD^: 최근 커밋과 스테이징을 하기 전 상태로 작업 트리를 되돌림. 단순히 git reset을 하면 이 옵션이 동작
git reset --hard HEAD^: 최근 커밋과 스테이징, 파일 수정을 하기 전 상태로 작업 트리를 되돌림. 실행 후 취소 불가능
git branch: 현재 생성되어있는 브랜치 목록 보기
git branch [브랜치 명]: 해당 브랜치 이름으로 새로운 브랜치 생성
git checkout [브랜치 명]: 해당 브랜치로 이동
git merge [다른 브랜치 명]: 현재 브랜치에서 다른 브랜치와 병합 시킴
git branch -d [브랜치 명]: 브랜치 삭제
git stash: 커밋하기 전에 해당 수정된 파일을 따로 보관함
git stash pop: 숨긴(보관한) 파일을 다시 꺼냄
git stash ddrop: stash 목록에서 가장 최근 항목을 삭제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Hub 1 (0) | 2022.11.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