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 Hub
- 원격 저장소에서 깃 관리
- 지역 저장소를 백업
- 협업 프로젝트 (코드 공유)
- 개발 이력 남기기
- 다른 사람의 소스를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 오픈 소스라면 자신이 개발에 참여하는 것도 가능
사용 방법
- Repository 생성: New repository 클릭 -> Repository name 설정 -> 나머지 관련 설정
- git bash에서 지역 저장소 생성 후 원격 저장소 연결
- git remote -v를 이용해 연결됐는지 확인
- 그리고 git push -u origin [브랜치 명]을 통해 해당 브랜치로 연결해줌.
- 그러면 로그인 창이 뜨게 되는데 ssh를 이용해 한번에 연결할 수도 있다.
SSH를 이용해 연결 (구글링 해보니 친절하게 설명해준 사이트가 있음)
- SSH키 생성
ssh key는 ssh-keygen을 이용 |
-t 옵션을 통해서 암호화 방식 설정 가능. 여기서는 최신 암호화 방식인 ed25519를 사용 |
-C 옵션을 이용해 자기 이메일을 설정 |
- 실제로 키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
원래는 절대 개인키를 공개해서는 안됨!! |
- 텍스트가 깨지지 않도록 명령어를 통해 복사
필자의 경우 window라 clip을 사용, mac의 경우 pbcopy를 이용 |
- 공개키를 GitHub 계정에 등록
- 접속 여부를 위해 clone을 통해 연결
git로그를 찍어보니 성공적으로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Clone
- git clone [코드] [만들 디렉터리 명]
- 해당 코드 복사 후 git bash에 적어줌
-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 후 git log를 찍어보면 잘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