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 Hub 1

    Git Hub 원격 저장소에서 깃 관리 지역 저장소를 백업 협업 프로젝트 (코드 공유) 개발 이력 남기기 다른 사람의 소스를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 오픈 소스라면 자신이 개발에 참여하는 것도 가능 사용 방법 Repository 생성: New repository 클릭 -> Repository name 설정 -> 나머지 관련 설정 git bash에서 지역 저장소 생성 후 원격 저장소 연결 git remote -v를 이용해 연결됐는지 확인 그리고 git push -u origin [브랜치 명]을 통해 해당 브랜치로 연결해줌. 그러면 로그인 창이 뜨게 되는데 ssh를 이용해 한번에 연결할 수도 있다. SSH를 이용해 연결 (구글링 해보니 친절하게 설명해준 사이트가 있음) SSH키 생성 ssh key는 ssh-k..

    #Git 1

    기본 환경설정 로컬에서 기본값으로 사용할 Git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설정 에디터 설정 (vi, vim, nano 등) 기본 용어 정리 작업 트리 - 파일 수정, 저장 등의 작업을 하는 디렉터리. 작업 디렉터리 스테이지 - 버전으로 생성할 파일들이 대기하는 곳 저장소(repository) - 스테이지에서 대기하고 있던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서 저장하는 곳 브랜치(branch) -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서 관리함으로 각각의 독립된 Branch에서 마음대로 소스코드를 변경하여 작업한 후 원래 버전과 비교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커밋 - 확인 / 설정 기본 명령어 git status: 현재 수정 및 스테이징 된 파일의 목록을 확인 git log: commit 목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