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개발
Connection, PreparedStatement
JAVA를 DB와 연동할 시 DAO에서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작업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Connection과 PreparedStatment이다. Connection은 말 그대로 무언가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Connection을 객체로 만들어준 뒤 db의 내용을 처리하기 위해 PreparedStatement 객체를 이용한다. PreparedStatement객체는 statement를 상속받은 인터페이스로 SQL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객체이다. statement객체는 실행 시 sql 명령어를 지정하여 여러 sql 구문을 하나의 statement객체로 수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preparedStatement는 객체 생성 시에 지정된 sql 명령어만을 실행할 수 있다. 동일한 sql 구..
JS 객체 안의 함수
객체 안에 함수를 나타내는 법. 일단 변수명을 지정 그다음 {} 안에 들어가는 값들을 키 값 쌍으로 구분. 함수를 넣을 시에는 값 대신 함수를 넣어줌. 익명 함수를 사용 시 ex) abc = () => window.document.getElementById('abc') 이런 식으로 사용 가능하고 객체로 만들 시 값을 여러 개 넣는 것과 동일하게 함수도 여러 개 넣을 수 있음. 객체 안의 함수를 넣을 시 다양한 함수를 이용할 수 있음. 우리가 자바로 객체 안의 여러 메서드를 정의해서 사용하는 것처럼 js에서도 객체 안의 함수를 넣어 곳곳에서 그 함수를 부르기가 용이함. 이렇게 한번 정의하고 나면 다음에 사용할 때도 편함. 정의하면 편한 장점이 있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정의할지에 대해 아직까지 어려운 점이 ..

Scroll Effect
안녕하세요. 오늘은 화면을 스크롤 시 상단 부분을 바뀌는 부분을 JS로 구현해보겠습니다. SETTING Home 안녕하세요 초보개발자 청춘고양이 안녕하세요 JS를 통해 상단 화면을 변경해 보겠습니다. .header { align-items: center; width: 100vw; background-color: #111111; border-bottom: 3px solid #666665; backdrop-filter: blur(5px); display: flex; flex-direction: row; justify-content: space-between; font-size: 1.5rem; padding-bottom: 2rem; padding-top: 2rem; position: fixed; z-index..

MVC 패턴
MVC 패턴은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를 합친 디자인 패턴 중 하나. 이러한 패턴을 통해 프로그램이나 어떤 특정한 것을 개발하는 중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해서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해서 쓸 수 있는 것이며 특정한 규칙을 가지고 만들어진다. 또 MVC패턴의 경우 1과 2가 있는데 1의 문제를 보안해서 나온 것이 바로 2이다. 1의 경우 유지보수가 힘들기 때문에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모델이며 Controller와 View를 모두 JSP가 조종한 1의 경우와 달리 View만 JSP가 건드리는 구조다. Model : 서비스, DAO(Data Access Object), DTO(Data Transger Object), VO(Value Object), Entity로 구성된다. ..
XHR
xhr을 사용하는 이유는 페이지의 변화 없이 외부 데이터 수신 즉, 요청을 받기 위해서 우리는 xhr을 사용한다. 그러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xhr을 사용하려면 우리가 xhr을 설정해줘야 한다. 즉, 정의되지 않은 xhr을 사용하려면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먼저 해줘야 되는 것은 그것은 아마 당연하게도 xhr 객체를 만들어 줘야 한다. 우리는 xhr을 let xhr = new XMLHttpRequest();를 통해서 객체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객체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이다. 사람으로 따지면 갓난아기인 셈이다. 그러면 갓난아기에 관해 생각해볼까? 배우지 않은 아기가 한글을 말하고 걷는 것을 할 수 있을까? 아기가 태어나자마자 바로 말하고 걷을 수 있다면..

[CSS]-1. 적용방법 및 선택자
오늘부터 CSS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html과 마찬가지로 학원에서 배우는 내용을 중점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오늘은 적용방법과 선택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HTML 요소에 'style' 속성으로 적용 HEAD 요소 안에 One Two Three Four Five Six 클래스 속성이나 ID 속성과 같이 대표적인 속성이 아닌 태그 안의 특정 속성을 가지고 스타일을 지정하는 방법 청춘 고양이 선택자 뒤에 : 를 붙이면 특정 상황마다 적용할 스타일을 설정. 각 선택자 뒤에 클론(:)을 적고 명시 몇 가지의 가상 선택자를 알아봅시다. 가상 선택자 :link 방문한 적이 없는 링크 선택 :visited 방문한 적이 있는 링크 선택 :hover 마우스를 가져다 (롤오버) 둘때 발생 :active 마..